생각자리
[Git, Github] 기초 명령어 본문
CMD (Terminal) 기초 명령어
dir : 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조회
cd : 해당 폴더로 이동 → 예) cd 폴더명
cd .. : 뒤로 가기 (back)
단축키
tab : 자동완성
파일탐색기에서 cmd 실행하기
git 기본 명령어
git --version
깃 버전 확인
git con --global init, defaultBranch main
깃의 브랜치를 master 에서 main 으로 변경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user name"
깃 유저명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user mail address"
깃 유저메일 설정
git config --list
위 설정한 config 가 잘 되었는지 확인
git init
깃 저장소 생성 (최초 1회만 실행)
git add (뒤에 . 을 넣을 경우 모든 파일을 의미함)
파일을 모아서 깃에 추가
git status
현재 상태 확인
git commit -m "프로젝트 이름"
저장소에 commit 시키는 명령어
commit 은 코드 변경에 대한 기록을 의미
- -m 뒤에는 코드 변경 사유에 대한 메모를 적는 편이 좋음
- 팀 프로젝트의 경우 공동 작업이므로 모든 작업자가 알아보기 쉽게 명명하는것이 중요함
git log
commit 이 잘 되었는지 내역 확인
git push origin master
깃허브 레포지토리에 신규 커밋을 넣음
git clone "레포지토리 주소"
깃 허브의 레포지토리에 커밋된 모든 작업물들을 로컬 컴퓨터에 가져옴
git pull origin master
서버에서 변경된 부분을 로컬 컴퓨터로 가져옴
git reset --hard
- commit 취소
- git reset --hard 뒤에 최초 상태의 hash 코드를 붙이면 최초 상태로도 복원 가능함
'Programming t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, Github] gitignore 적용 및 자동생성 사이트 (0) | 2022.09.05 |
---|---|
[Github] repository 에 잘못 올라간 폴더 삭제하기 (0) | 2022.08.30 |
[개발자 도구] Chrome 개발자 도구 사용법 (0) | 2022.07.02 |
[Git, Github] 깃과 깃허브의 개념과 주요 단어 (0) | 2022.06.23 |
[VScode] 프론트엔드를 위한 확장팩 설치 (0) | 2022.06.22 |
Comments